
이미지투데이
[서울경제] 
과자·조미료·가공육 등 초가공식품을 자주 먹는 사람일수록 파킨슨병에 걸릴 가능성이 크게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파킨슨병은 사지와 몸이 떨리고 경직되는 중추 신경 계통의 퇴행병. 머리를 앞으로 내밀고 몸통과 무릎이 굽은 자세와 작은 보폭의 독특한 보행을 보이며 얼굴이 가면 같은 표정으로 바뀐다. 대뇌의 신경 전달 물질인 도파민이 줄어들어 일어나며, 연령이 높을수록 발생 빈도가 높다. 1817년에 영국의 병리학자 파킨슨(Parkinson, J.)이 보고하였다.또한, 초가공식품이란 과도하게 가공되고 첨가물이 많이 포함된 식품 으로, 천연 식품보다 건강에 해롭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초가공식품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 대량 생산 과 긴 유통 기한 , 편리한 섭취 를 위해 다양한 가공 과정을 거칩니다.
 - 강화된 맛, 색, 질감 을 위해 방부제, 착색료, 향료 등의 식품 첨가물이 다량 포함됩니다
 - 고칼로리 이면서 영양가는 낮은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비만, 당뇨병, 심혈관 질환 등의 건강 문제를 유발할 가능성이 큽니다
 
10일(현지 시간) 영국 데일리메일은 킹스칼리지 런던 연구팀이 파킨슨병 환자 88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인용해 이같이 보도했다.
연구 결과 환자들은 건강한 사람에 비해 장내 유익균은 적고 유해균은 더 많은 것으로 확인됐다.
프레더릭 클라센 킹스칼리지 런던 박사는 “해로운 세균이 인지 기능 저하를 직접 일으키는지 아니면 파킨슨병 때문에 몸이 변하면서 이런 세균들이 늘어나는지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고 말했다.
다만 “유해 세균이 파킨슨병 증상 악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며 “첨가물들이 화학 반응을 일으켜 뇌 신경세포를 직접 손상시킬 수 있다”고 덧붙였다.
중국 연구진의 별도 연구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초가공식품을 하루 11회 이상 섭취하는 사람은 파킨슨병 초기 증상 발생 가능성이 2.5배 높았다.
연구진은 초가공식품 속 유화제·감미료 등 첨가물이 장내 유익균을 파괴한다고 설명했다. 장내 세균 균형이 무너지면 염증이 발생하고 이 염증 반응이 뇌로 전달돼 도파민 생성 신경세포를 손상시킨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환경 독성물질과 인구 고령화를 파킨슨병 급증의 주요 요인으로 지목했다. 그러면서 “초가공식품을 피하고 균형잡힌 다양한 음식을 섭취하면 파킨슨병 발병 위험을 낮추고 인지 기능 저하를 늦출 수 있다”고 조언했다.